정리하기
1. 특수교육의 변화
- 세대에 따른 특수교육의 변화에 대해 콜드웰(Caldwell, 1973)은 특수교육은 ‘잊어버리고 감추기 시대(Forget and Hide)’에서 ‘선별하여 분리교육하기 시대(Screen and Segregate)’를 거쳐 ‘판별하여 도와주기 시대(Identify and Help)’로 변화되었으며, 알렌과 카우드리(Allen & Cowdery, 2005)은 최근 특수교육은 ‘통합하여 지원하기 시대(Integrate and Support)’가 시작되었다고 하였다. 이처럼 특수교육의 변화를 4단계로 제시할 수 있다.
정리하기
2. 통합교육의 의미
1) 통합교육의 용어
- 통합’의 의미로 ‘integration’과 ‘inclusion’이 사용되고 있다.
- ‘integration’은 ‘합친다’는 의미로 , ‘inclusion’은 ‘포함’을 의미한다.
- ‘integration’은 ‘선 분리 후 통합’을 지향하는 것으로, 두 집단의 아동을 혼합하는 적극적인 과정을 의미하며, ‘inclusion’은 ‘선 통합 후 필요에 따라 분리’를 취하고 있으며, 장애아동이 일반학급 프로그램의 진정한 구성원이 되는 것이다.
- 이외에도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 환경에 일반 아동을 포함시키는 역통합(reverse mainstreaming), 모든 장애아동을 일반교육 환경에 배치해야 한다는 완전통합(full inclusion) 등의 용어로도 사용되고 있다(이소현, 박은혜, 2011).
정리하기
2) 통합교육 목적
- 통합교육의 목적은 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장애의 유형이나 장애의 정도에 관계없이 장애아동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수용되는 것이며,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다.
- 정대영(2009)은 통합교육의 목적은 학습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,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을 추구하며, 구성원들 간의 조화를 극대화함으로써 더불어 잘 사는 사회 또는 공동체 사회의 실현을 지향하는데 있다고 하였다.
정리하기
3) 통합교육의 정의
- ‘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’(2007)에서는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·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한다(2조 6항)고 정의하고 있다.
- Kauffman 등(1975)의 정의에 의하면,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을 일반학급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것(시간적 통합) 외에도 학문적(교수활동적 통합)으로나 사회적(사회적 통합)으로 통합하는 것을 포함한다.

[참고문헌]
[주교재] 특수유아교육 2판, 유수옥, 창지사, 2013, P.322~326
[주교재] 특수교육학개론, 임경옥 외, 학지사, 2017, P.48~49
[부교재] 특수아동교육 3판, 이소현, 박은혜, 학지사, 2011, P.16~19, 32~3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