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페이지
다음페이지
정리하기
1. 훈민정음의 창제와 반포
(1) 1443년(세종 25년) 12월(음력)에 세종대왕이 창조.
(2) 1446년(세종 28년) 9월(음력)에 훈민정음을 반포.

정리하기
2. 훈민정음의 구조와 특성
(1)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
① 자음자의 제자 원리: 상형과 가획
ㄱ. 기본자 5자(ㄱ,ㄴ,ㅁ,ㅅ,ㅇ)는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만듦.
ㄴ. 가획: ㄱ→ㅋ / ㄴ→ㄷ, ㅌ / ㅁ→ㅂ, ㅍ / ㅅ→ㅈ, ㅊ / ㅇ→, ㅎ
ㄷ. 이체자: ㆁ, ㅿ, ㄹ
② 모음자의 제자 원리: 상형과 합성
ㄱ. 기본자 3자(ㆍ, ㅡ, ㅣ)는 하늘, 땅, 사람의 삼재를 형상화한 것
ㄴ. 나머지 글자는 기본자에 ‘ㆍ, ㅡ, ㅣ’를 결합시켜 만듦.
(2) 훈민정음의 특성: 독창적, 과학적, 체계적

정리하기
3. 글자의 운용
(1) 연서: 입술소리 ‘ㅂ, ㅍ, ㅃ, ㅁ’ 아래에 ‘ㅇ’을 이어 쓰면 순경음 ‘ㅸ, ㅹ’이 됨.
(2) 병서: 초성이나 종성을 합칠 때에는 가로로 나란히 쓰라는 규정
(3) 성조: 소리의 고저를 나타내는 것