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1. 한국어 어휘론의 개요
- (1) 어휘의 개념
- - 단어를 어휘라고 일컫는 일이 있으나 단어는 어휘를 구성하는 자료일 뿐.
- - 어휘가 풍부하다는 말은 표현성의 풍부함을 위해서 어휘가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좋음.
- - 구체적으로 보통 말하는 단어가 중심이 되고 단어보다 하위단위인 형태소가 포함된다.
- - 단어보다 상위단위인 구(句)도 그것이 전체로서 하나의 사물과 대응되어 있거나 한 사물의 존재 · 상태 · 움직임 등을 대표한다면 문(文)의 기본단위가 된다는 점에서 역시 어휘소라고 할 수 있다. 어휘소란 한 언어체계에서 어휘를 형성하는 자료가 된다.
- (2) 우리말 어휘의 일반적 특성
- ① 한자어, 기타 외래어의 유입 때문에 유의어가 많아졌다.
- ② 한자어의 영향으로 동음이의어가 많아졌다.
- ③ 한국어에서는 경어법이 복잡하게 발달되어 있다. 또한, 한자어가 경어법의 발달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. 대체로 하나의 유의어군이 있을 때 고유어보다는 한자어가 경의를 표하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.
- ④ 고유어와 한자어가 유의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대체로 한자어가 품위 있고 경의를 표하는 말로 인식되고 있다.
- ⑤ 의성어 · 의태어 등 음성상징의 발달이 눈에 띈다. 모음과 자음의 대립을 이용한 변화 있는 표현이 풍부하다.
- ⑥ 고유어는 개념어로서의 적성이 한자어에 비하여 약하다. 한자는 조어력이 강하여 학술용어나 기타 전문용어, 그리고 일반 용어에도 한자어가 증가라는 추세에 있다.
- 2. 어휘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상관성
- ① 어린아이들이 모국어를 배울 때, 가장 먼저 습득하는 것이 어휘이고, 이를 바탕으로 두 어휘 문장, 세 어휘 문장으로 발전되어 간다는 것에 주목. (어휘는 언어 습득의 시작)
- ② 단계가 높아질수록 외국어 학습이 어려워지는 것은 어휘 때문이다. 독해 및 듣기에 어려움을 겪는 많은 학습자들이 그 원인을 어휘로 돌리고 있다는 것에도 주목. (언어 학습의 마지막 역시 어휘)
- 07/08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