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의의
- ❖ 영유아 보육현장에서 교육활동의 기초자료를 마련함
- ❖ 교사 자신의 수업평가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
- ❖ 영유아의 발달수준 및 흥미 정도를 알 수 있음
- ❖ 영유아의 성장과정을 알 수 있음
- ❖ 학부모와의 면담자료를 마련함
- ❖ 영유아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또는 다른 연구의 보조자료로도 사용됨
- ❖ 연구대상자가 어리거나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경우에 유용함
- ❖ 기억에 의존하는 것도 아니고 투사된 자료도 아니고, 실제 자료임
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목적
- ❖ 영유아의 전인적 성장‧발달을 지원함
- ❖ 교사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함
- ❖ 부모에게 필요한 이해자료를 제공함
- ❖ 어린이집의 교육목표 달성도를 파악함
영유아 관찰 및 행동연구의 유형
- ❖ 자연적 관찰과 통제적 관찰
- 자연적 관찰은 관찰하고자 하는 장면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지 않고 어떤 행동이나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, 통제적 관찰은 관찰 장면을 통제한 다음 관찰 행동을 보다 정확하고 엄밀한 조건 아래서 관찰하는 방법임
- ❖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
- 관찰의 환경이 자연적이냐 인위적이냐에 따라 자연관찰과 통제관찰로 구분하며, 이를 다시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로 나뉨. 조직적 관찰은 인위적 실험실에서의 놀이연구, 비조직적 관찰은 현장 연구임
- ❖ 참여 관찰과 비참여 관찰
- 참여 관찰은 관찰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집단에 직접 들어가 구성원으로 참여하면서 관찰하는 방법이며, 비참여 관찰은 관찰하고자 하는 장면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지 않고 어떤 행동이나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방법임
- 07/08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