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1. 소방행정의 의의
- 1) 소방행정의 개념
- (1) 사전의미 : 화재를 살펴서 조심하고 발생화재를 예방하고 진압하는 일련의 행태
- (2) 소방법 제1조 규정
- - 화재를 예방·경계하거나 진압
- - 화재, 재난·재해,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·구급 활동
- 2) 행정의 특징과 소방행정의 특징
- (1) 행정의 특징
- - 행정은 국민 대다수의 관심사
- - 정치성 내포
- - 행정은 사회체제를 유지
- -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의 적합화
- - 미래 불확실성에 대응
- - 기타 : 평등성, 책임성, 비배제성, 목적의 다원성, 비시장성, 규범성, 외연성(외부효과성), 무형성 등
- (2) 소방행정의 특징
- - 넓은 의미의 소방행정 : 소방재원의 지출이 필요한 공공행정 서비스로서 소방부서가 제공하는 모든 것을 의미
- - 소방행정 서비스는 비배제성과 비경합성
- - 법제적 특성 : 특정직 공무원으로서의 국가공무원법의 특별법이 우선적으로 적용
- - 조직적 특성 : 소방은 계급체계를 기초로 한 강력한 위계질서와 상명하복의 지휘 및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음
- 3) 소방 업무적 특성
- ① 긴급성과 현장성
- ② 가외성
- ③ 위험성
- ④ 전문성
- ⑤ 결과성
- ⑥ 대기성
- ⑦ 신속, 정확성
- ⑧ 일체성
- 2. 소방행정학의 학문적 성격
- 1) 사회과학으로서 소방행정학
- 소방행정학은 정부의 행위, 정부 및 지방정부와 시민 간의 관계에 대한 정립 등에 대한 학문으로서 사회과학의 한 분과로 어느 정도 자리매김을 해나가고 있음
- 2) 타 학문과의 관련성
- 소방행정학은 그 연구대상인 행정현상 자체가 복합적인 성격과 다면성을 지니기 때문에 종합학문적 성격
- 3) 소방행정학의 전문직업적 성격
- 재해재난의 대형화와 위기의 일반화 등에 따라 소방행정가들에게 점차 많은 전문성과 전문직업적 성격을 요구하게 됨
- 3. 소방행정학의 과학성(science)과 기술성(art)
- 1) 소방행정학의 과학성
- 소방행정학의 과학성 문제는 소방행정현상의 여러 가지 변수 간의 관계를 논리적, 실증적,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경험적 이론화의 작업에 전념
- 2) 소방행정학의 기술성
- - 현실 문제의 해결을 통한 인간복지의 증진에 유용한 실용적 지식을 제공
- - 가치문제, 문제해결 지향성, 처방성, 실천성 등을 강조
- 3) 소방행정학의 종합적 성격
- 소방행정학이 과학이냐, 기술이냐에 대한 논쟁은 학문이 처한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며, 학문의 유용성은 그 사회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학문이 어느 정도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느냐에 달려 있기에 과학성과 기술성은 조화적 관계로 인식해야 함
- * 참고문헌
- [주교재] 소방행정학, 조석현, 화수목, 2016, P.2~12
- [부교재] 네트워크 행정학개론, 조석현 외, 정훈사, 2014, P.9~14
- 07/08
